기후변화란?
IPCC 정의
오랜 기간(수십 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되면서 기후의 평균 상태나 그 변동 속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동으로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이든 ‘자연적인 변동’이든 시간 경과에 따른 기후의 변화를 포괄한다.
UNFCCC 정의
전 지구 대기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인간의 활동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요인으로 일어나고, 장기간에 걸쳐 관측된 자연적인 기후변동성에 추가하여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를 의미한다.
기상청 정의
기후변화란 오랜 기간(통상적으로 10년 이상의 긴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기후 평균상태 또는 변동성의 변화를 의미한다. 자세하게는 현지 지구의 기후가 인위적인 요인(화석연료 과다사용,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 등)과 자연적인 요인(화산폭발, 태양에너지 변화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후변화 원인
기후변화는 자연적인 요인과 인간의 활동에 다른 인위적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자연적 요인
지구시스템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 화산폭발, 태양에너지의 변화, 궤도 변화(밀란코비치 주기)
- 지구시스템의 상호작용
- 화산폭발로 인한 화산재
- 태양에너지의 변화
인위적 요인
온실가스, 에어로졸의 영향, 토지 피복 변화와 산림 파괴 영향
에어로졸이란 대기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로 액체나 고체의 입자가 주로 공기와 같은 기체 내에 미세한 형태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
- 화석연료 연소 등 온실가스 증가
- 에어로졸 발생
- 도시화로 인한 숲의 파괴